겨울에는 운전자들이 차량 운행에 부담을 느낄 만큼 도로 상태가 굉장히 악조건입니다. 낮은 기온으로 인해 도로가 얼어버려 자칫 미끄러질 수 있고 조금이라도 미끄러진다면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 겨울철에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오늘은 겨울철에 사용하면 좋은 겨울용 스노우 타이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스노우 타이어
겨울철에는 낮은 온도로 인해서 고무가 딱딱해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도로 위에서 마찰력을 잃기 쉽습니다. 따라서 도로에서 미끄러질 확률이 높아지는 것이 겨울철 도로입니다. 타이어는 고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기온이 높아지면 자연 스러 타이어가 부드러워지면서 접지력이 올라가지만 반대로 기온이 낮아지면 고무가 경화되기 때문에 접지력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선택하는 사계절용 타이어
거의 대부분의 차량에 장착되어 사용되고 있는 사계절용 타이어는 겨울철에 제동거리가 길어지고 타이어의 성능이 제대로 발휘되기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사계절 타이어이기 때문에 겨울철에도 쓸 수 있는 타이어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지만 스노우 타이어에 비하면 차이가 굉장히 큽니다. 겨울용 스노 타이어는 눈길이나 빙판에서도 제동 성능이 뛰어나고 보다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하도록 만들어져 있습니다. 겨울철에 얼어버린 빙판 도로의 경우 일반 노면보다 4~8배 미끄럽고 제동거리가 20~40% 늘어나기 때문에 사계절 타이어만으로 운전자의 안전을 의지하기에는 위험 부담이 클 수 있습니다.
스노우 타이어 교환 시 주의사항
많은 사람들이 타이어를 크게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고 심지어 교환을 하더라도 일부만 바꾼다던지 절약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합니다. 이런 경우 겨울용 타이어는 4바퀴 모두 교체해야 안전하고 그 이유는 차량의 바퀴마다 접지력의 차이가 크게 발생하게 되면 차량이 코너를 돌거나 할 때 접지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쪽으로 무게가 실리게 되면 차량이 스핀 하게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차량의 모든 타이어 마모도 체크하기
스노우 타이어를 구비해 놓고 교환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타이어의 마모도를 체크해야 합니다. 타이어의 마모 한계선을 체크하고 교체하는 것이 좋습니다.
겨울용 타이어 관리법
겨울용 스노우 타이어를 관리하는 방법은 겨울에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겨울용 타이어가 쉽게 미끄러지지 않기 때문에 그냥 봄에도 계속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봄이나 여름에도 겨울용 스노우 타이어를 사용하게 되면 고무가 너무 부드러워 차량의 텐션을 잘 잡아주지 못하고 고속 주행 시 차량 흔들림이 심해지거나 오히려 제동거리가 늘어나게 되어 위험합니다.
탈착 하여 보관하기
겨울용 스노우 타이어는 보관할 때 공기압을 10% 정도 뺀 뒤 직사광선을 피해서 습기가 없는 곳에서 전용 덮개를 이용하여 덮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최근에는 겨울용 타이어를 무료로 보관해 주는 곳도 있으니 집에 보관하기 어려운 분들은 보관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사륜구동은 겨울용 스노우 타이어가 필요 없을까?
일반적으로 사륜 구동 시스템을 믿고 타이어 관리는 소홀한 운전자들이 있습니다. 사륜 구동 차량은 비포장 도로, 급경사등 다양한 험로 주행에 최적화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지만 빙판길이나 살얼음이 낀 블랙아이스 도로 등에서는 사륜 구동 시스템의 차량도 똑같이 접지력이 낮아져 평소의 성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됩니다. 따라서 사륜 구동에도 스노우 타이어를 장착하게 되면 사륜 구동의 퍼포먼스를 그대로 발휘할 수 있게 됩니다.
겨울철 안전 운행을 위한 방법
겨울철에는 차량 관리에 더욱 신경을 써야합니다. 차량의 거동 상태가 안 좋아질 수 있고 각종 부품에도 문제를 일으키거나 차량에 대미지를 입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차량을 안전하게 운행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데 관리를 위해서 점검해 주면 좋은 내용에 대해서 다뤄보겠습니다.
차량 공기압 체크하기
겨울철에는 공기가 수축하기 때문에 타이어의 공기압이 더욱 빨리 감소하게 됩니다. 공기압이 부족한 타이어는 과열될 우려도 있고 겨울철 주행 시 타이어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로 인해서도 타이어가 얼었다 녹았다를 반복하면서 마모가 심해질 수 있기 때문에 차량의 타이어를 온전한 상태로 운행하기 위해서는 공기압 관리를 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겨울철에는 평소보다 10% 공기압을 올려서 주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배터리 방전 예방하기
겨울철 긴급 출동 서비스의 절반 이상은 배터리 문제라고 합니다. 날씨가 추울 때는 배터리 전해액도 굳기 때문에 배터리 성능이 저하되게 되고 시동을 걸기가 어려워집니다. 통상 겨울철 배터리의 성능은 심하면 30% 정도 저하되기 때문에 배터리 관리는 필수적입니다.
배터리 방전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가급적 지하주차장에서 보관하는 것이 좋고 한파 주의보가 내렸을 때 야외주차를 해야하는 경우 차량의 보온을 위해서 배터리를 헝겊으로 덮어주거나 차량 커버를 씌우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겨울철 시야 확보에 신경쓰기
겨울은 밤이 길기 때문에 일몰 시간이 이릅니다. 따라서 차량의 라이트를 사용하는 시간이 증가하게 되는데 겨울철 장거리 운행이나 눈이 오는 밤 같은 경우 시야 확보가 굉장히 어렵습니다. 따라서 차량의 각종 전구가 모두 점등되는지 기능에는 문제가 없는지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급가속 급제동하지 않기
겨울철 도로는 평소보다 접지력을 잃기 쉬운 환경이 조성되어 있습니다. 눈길은 쉽게 미끄러지기 때문에 출발이나 감속 시 급가속이나 급제동은 접지력을 잃기 쉽게 만드는 행동이기 때문에 부드럽게 출발하고 감속도 여유 있게 부드럽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언덕길을 주행하게 될 경우에는 저속 기어로 바꾸어 차량의 접지력을 최대한 확보하면서 험로를 통과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오늘은 겨울철에 중요하게 생각해야 할 타이어와 안전운전을 위해서 점검해야 할 몇 가지 포인트를 공유해 드렸습니다. 겨울철에는 배테랑 운전자부터 초보 운전자까지 사고가 많은 계절이기 때문에 모두가 각별히 주의하여 안전 운전했으면 좋겠습니다.
'라이프스타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 핸들 스티어링 휠에 대하여 (0) | 2023.01.18 |
---|---|
겨울에 자동차 에어컨 버튼 사용 유무 필수 총정리 알아보기 (0) | 2023.01.17 |
자동차 계기판 빨간색 눈금의 의미 알아보기 (0) | 2023.01.15 |
외국의 다양한 운전면허 시험 방법 (0) | 2023.01.14 |
겨울철 차량 관리 방법 알아보기 자동차 월동 준비 (0) | 2023.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