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라이프스타일

자동차 차량용 소화기 선택법 승용차 의무 설치여부

728x90

자동차에서 사용하는 차량용 소화기가 따로 있습니다. 차량에는 소화기 설치가 의무화 된지도 2년 정도 시간이 지났습니다. 하지만 아직까지 차량용 소화기 설치가 의무화가 되었는지 모르는 사람도 많습니다. 차량에 소화기 비치가 필요한 이유부터 차량용 소화기를 올바르게 선택하는 방법과 화재시 대처 요령까지 알아보겠습니다.

자동차 화재 진압
증가하는 자동차 화재

차량용 소화기에 대해

차량용 소화기는 경주용 차에도 의무적으로 비치되어 있었습니다. 하지만 차량용 소화기가 일반 승용 차량에는 비치해야한다는 규정은 없었는데 차량 화재시 대비 하기 위해 차량용 소화기를 필수적으로 비치하도록 의무화가 되었습니다.

2020년 5월부터 시행된 소화기 설치 의무화

차량내에 차량용 소화기 설치 의무화는 2020년 5월부터 의무화가 되었습니다. 약 10년간 연평균 자동차 화재 발생 건수는 약 5000여건 정도 됩니다. 이 중 승용차가 차지하는 비중이 50% 정도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트럭과 같은 상용차량에만 적용되던 차량용 소화기 설치 의무화가 일반 승용차량으로 확대 시행되었습니다.


따라서 7인 이상 차량에만 적용되던 차량용 소화기 설치 의무를 5인승을 포함한 모든 승용차로 확대되었습니다. 2020년 5월부터 출시되는 신차부터는 단계적으로 소화기 설치가 적용되어오고 있으며 이미 자동차를 구매한 운전자들도 차량용 소화기 설치 의무에 따라 차량 내에 소화기를 비치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게 되었습니다.

자동차에서 불이 났을 때
위험한 자동차 화재

소화기 고르는 법

소화기는 다 똑같지 않습니다. 차량용 소화기는 자동차의 화재에 맞춰 설계되어 차량용 소화기가 출시되고 자동차 겸용 소화기로 출시되고 있습니다.  이는 소화 기능 중 자동차 화재에 적합하게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성능이 더 좋습니다.

차량용 소화기와 일반 소화기의 차이

차량용 소화기를 일반 소화기와 구분하는 법은 소화기 본체 상단에 자동차 겸용 표시의 여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차량용 소화기는 차량 화재에 적합하게 만들어져 출시되기 대문에 자동차용 소화기 성능 검사에서 인증받은 제품으로 구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차량 종류에 따라 비치해야할 소화기가 다르다

차량용 소화기는 차량의 종류와 탑승 인원 수에 따라서 비치해야하는 소화기를 다르게 적용하고 있습니다. 소화기의 성능은 능력단위라고 하는 소화기가 불을 끌 수 있는 능력을 표시하는 단위로 5인 이상 승용차와 경차는 능력단위 1이상 소화기 1개를 비치해야하고 15인 이하 승합차는 능력단위 2 이상의 소화기 1개 혹은 능력단위 1이상 소화기 2개를 비치해야합니다. 16~35인의 중형 승합차는 능력단위 2이상의 소화기 2개를 설치해야합니다.

차량용 소화기 구매처

차량용 소화기는 대형 마트나 인터넷 쇼핑몰에서도 편리하게 구매할 수 있습니다. 차량용 소화기를 구매할 때는 내용물이 새지 않고 용기가 파손되거나 변형되지 않는 제품으로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소화기의 종류 알아보기
다양한 소화기 종류

차량용 소화기 종류 알아보기

차량용 소화기에는 분말 소화기, 할로겐물소화기, 이산화탄소소화기, 강화액소화기, 폼소화기 등 다섯가지가 있습니다. 그 중 사용도가 높은 제품들은 분말소화기, 할로겐물소화기, 폼소화기를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

분말 소화기

분말 소화기는 분말 형태의 소화 약재를 뿌리는 소화기 형태로 사용 시 압축된 가스를 이용하여 미세 분말들을 분사하여 불을 끄는 형태입니다. 분말 소화기는 소화력이 탁월하고 사이즈가 다양해 선택군이 넓은 것이 장점이기만 분말소화기의 경우 엔진 및 분사한 곳 부품 위에 분말이 그대로 남아 2차 오염을 유발할 위험이 있습니다.

할로겐물소화기

할로겐물소화기는 소화력이 우수해 적은 양으로도 화재 진압이 가능하고 방출할 때 차체에 손상이 없습니다. 분말소화기에 비해서 2차 오염 염려가 없다는 것이 장점인데 제품에 따라 오존층을 파괴하는 물질이 포함되어 있어 생산이 규제되어 구매하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폼소화기

폼소화기는 거품형태로 분사되어 질식 작용으로 화재를 진압합니다. 거품이 산소를 효과적으로 차단해주기 때문에 소화 성능이 매우 뛰어난 점이 장점이지만 분말소화기에 비해서 가격이 비싸다는 점이 단점입니다.

소화기 올바른 설치 장소

차량용 소화기는 보통 트렁크에 설치하기 마련인데 트렁크에 둘 경우 긴급상황에 발 빠르게 대처할 수 없어 운전자의 손에 닿는 위치에 두는 것이 좋습니다. 그렇다면 승용차 기준 올바른 차량용 소화기 설치 장소는 어디가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운전자가 손을 뻗었을 때 닿을 수 있는 곳

차량용 소화기는 긴급상황에 빠르게 대처를 해야하기 때문에 승용차의 경우에는 운전자가 손을 뻗어서 닿을 수 있는 곳인 운전석이나 조수석 시트 아래에 설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승합차의 경우에는 탑승자나 동승자가 쉽게 찾아 사용할 수 있는 곳에 두어도 무난하며 운전석 시트 뒤나 차량 문 옆 시트 아래가 적합합니다.

소화기가 움직이지 않게 단단히 고정하기

자동차 운행을 하다보면 소화기를 단순히 두기만 한다고 설치가 되지 않습니다. 자동차는 계속 움직이기 때문에 소화기도 그에 따라 움직이기 마련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차량용 소화기는 고정할 만한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SUV나 승합차량의 경우 차량의 흔들림이 더 많을 수 있기 때문에 거치대를 설치하여 소화기를 설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화재 진압하기
화재시 어떻게 해야할까?

화재시 대처 방법

그렇다면 화재시에는 어떻게 대처하는 것이 좋은지 알아보겠습니다.

화재 의심 상태

화재가 난 것 같이 의심 상태가 되면 바로 에어컨이나 히터 작동을 끄고 안전한 곳에 정차 후 차량의 시동을 꺼야합니다. 이 때 엔진룸에서 화재가 난 경우 차량 내부까지 불길이 확산되는 데 까지는 약 5분 정도 걸리기 때문에 신속하게 차량에서 빠져나와 대피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대피 후에는 2차 사고 방지를 위해서 삼각대를 설치하고 119에 신고 후 기다리면서 차량용 소화기를 사용합니다.

화재 진압하기

신고를 마치고 차량용 소화기를 이용해 화재 진압에 나서야합니다. 화재 규모가 많이 커졌을 경우에는 무리하게 소화를 시도하기 보다는 가급적 멀리 떨어지는 것이 좋고 화재 진압이 가능할 정도라고 판단되면 설치 해두었던 소화기로 화재 진압을 실시합니다.

화재 예방법

자동차 화재는 언제 어디서 발생할지 모르기 때문에 자동차 점검 만이 화재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화재의 주요 원인은 냉각수 부족, 연료와 오일 누출, 차량 전기 배선의 합선 등이 화재를 일으키는 주요 원인이므로 해당 내용들을 사전에 점검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