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를 운행하다 보면 날씨가 흐리거나 안개가 짙거나 밤시간에 운행을 하게 되면 차량의 안전을 위해서 전조등이나 안개등을 켜게 됩니다. 하지만 자동차를 운행하면서 각각의 램프의 뜻을 알지 못하고 사용해서 상대 운전자에게 피해를 주는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완전히 깜깜한 도로에서 상향등을 킨 상대 차량과 마주하게 된다면 눈이 굉장히 많이 부시기 때문에 잠시 동안 시야가 흐려질 정도로 눈이 부시기도 합니다.
오늘은 자동차의 램프에는 어떤 종류가 있고 각각 나타내는 용도는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자동차의 전조등
자동차의 전면에 위치한 전조등은 기본적으로 어두운 밤길을 밝혀주는 용도입니다. 전면에서 앞쪽 시야를 밝혀주고 점등 방법은 운전석의 왼쪽레버에서 보통 전조등을 조작할 수 있습니다. 전조등의 점등 방식은 두 가지로 나누어지는데 위쪽을 향하게 하는 상향등과 도로 아래쪽을 향하게 하는 하향등이 있습니다. 상향등의 경우에는 상대 차량이나 앞차량에게 피해가 갈 수 있는 점등 방식이기 때문에 도로의 환경이 너무 안 좋거나 선행 차량이 없는 곳에서 사용하는 것이 올바릅니다.
하향등도 좁은 골목길에서 마주친 경우 자동차 간 거리가 가깝거나 도로의 노면 상태에 따라 상대 차량에 눈이 부실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전조등을 잠시 꺼주는 것도 좋습니다.
주간주행등
전조등과 함께 주간주행등이라는 램프가 있는데 이 램프는 평상시에도 대부분 켜져 있는 램프입니다. 이 램프는 자동차가 주행시 낮에 주행하더라도 자동차가 운행하는 차량임을 알리고 자동차와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 설치되기 시작했습니다. 주간주행등은 2015년 이후 출시 차부터는 의무적으로 출시되기 시작했고 주간주행등인 만큼 주간인 낮시간에도 밝은 빛을 내어 안전을 위해서 차량이 운행하는 동안 계속 점등됩니다.
안개 낀날에 사용하는 안개등
도로를 주행하다보면 안개가 심한 지역을 지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안개로 인해서 도로에서 가시거리가 짧아지기 때문에 사고의 위험이 높습니다. 전조등보다 아래에 설치된 이 안개등은 가까운 곳을 비추고 투과성이 높고 빛의 조사각이 넓기 때문에 가까이에 있는 차량이나 보행자를 확인하는 데에 도움을 줍니다. 또한 빛을 비추는 공간이 넓어 빛이 퍼지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주변 운전자들이 자신의 차량을 파악하는 데에 효과적인 램프입니다. 안개등은 안개뿐만 아니라 폭우와 폭설과 같이 앞이 잘 안 보일 때에도 유용하게 활용됩니다. 하지만 맑은 날에도 안개등을 사용하면 주변 운전자들에게 눈부심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켜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뒤차에게 알리는 후미등
차량의 뒤에 장착되어 있는 램프인 후미등은 뒤따라오는 후행 차량에게 자신의 차량의 주행상태를 알려주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습니다. 특히 야간 운전 시에는 차량의 속도감이 더 안 느껴지기 때문에 선행차량의 브레이크 등이 들어오면 차량이 정차 중이구나라고 쉽게 판단할 수 있도록 후미등이 존재합니다. 하지만 차량의 후미등은 운전자가 직접 브레이크 등이 들어오는지 확인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고장 여부를 모르는 경우가 대다수입니다. 따라서 지하주차장 벽면이나 정차 시 한 번씩 확인해 보는 습관도 좋습니다.
다른 차량에게 신호를 보낼 수 있는 방향지시등과 비상등
방향지시등은 전면 후면에 모두 장착되어 있고 사이드 미러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수출용 차량은 앞 휀더에도 의무로 설치하게 끔 규정이 되어 있어 차량의 가장 많은 부위에 장착되어 있는 램프라고 볼 수 있습니다. 방향지시등은 자신의 차량의 의사를 알리는 용도로 차선을 변경한다는 것을 다른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방향지시등은 고속도로의 경우는 미리미리 켜고 차선변경을 하는 것이 좋고 최소 100m이상 지점부터 하는 것이 좋고 일반 도로도 30m 이상 미리 점등을 하고 차선 변경을 하도록 권장하고 있습니다.
비상등은 차량의 상태가 안좋거나 정차 시, 의사표현 등 다양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램프입니다. 비상등만 잘 써도 도로에서 매너 있는 운전자가 될 수 있습니다. 비상등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제가 쓴 포스팅을 참고해 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오늘은 자동차의 램프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외부에 켜지는 램프는 그만큼 자신과 상대에게도 안전을 지킬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인 만큼 평소 운전시 관심을 가지고 운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스텔스 차량이 되지 않기 위해서 밤에는 전조등이 잘 켜져 있는지 확인부터 하는 습관을 기르도록 합시다.
'라이프스타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 침수 피하는 방법 (0) | 2023.02.09 |
---|---|
암행 순찰차 종류 단속 도입 배경 적발 방식 (0) | 2023.02.07 |
자동차 에어백의 기술 발전에 대하여 (0) | 2023.02.06 |
자동차 비상등 사용 방법 다양한 상황 별 의미 (0) | 2023.02.05 |
자동차 도로 터널의 위험성 (0) | 2023.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