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라이프스타일

자동차 주유구 위치 유종 확인 안열릴 때 대처법

728x90

자동차의 주유구는 차량마다 위치가 다릅니다. 자동차의 주유구에 관한 다양한 정보와 주유구가 안 열릴 때 대처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자동차 주유구 위치가 다른 이유

자동차를 처음 구매하거나 렌트카를 이용할 때 타고 있는 차량의 주유구 위치가 헷갈린 경험이 있으실 겁니다. 왜 차량마다 주유구의 방향이 다르게 설계되어 있을까요? 자동차 주유구 방향에 대한 규정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어디에 위치해도 상관이 없습니다. 하지만 주유구 관련 법안으로는 주유구가 안전을 위해서 머플러와 300mm 이상 떨어져 있어야 한다는 규정은 있고 다른 규정은 없어 자동차 제조사가 원하는 방향으로 설계되게 됩니다.

차량마다 주유구 위치의 규칙

국내에서 제조되는 차량은 대부분 주유구가 왼쪽에 위치하고 미국이나 독일에서 제조된 외제차는 주유구가 오른쪽에 존재한다는 암묵적인 규칙이 있습니다. 주유구 위치에 대한 해석은 국가의 통행 방향에 의해서 결정되었다는 이야기가 강합니다. 미국과 같은 우측 통행 국가의 경우 주유소 방문 시 돌아가지 않도록 주유구를 오른편에, 일본과 같은 좌측통행 국가의 경우 주유구를 왼편에 둔다는 해석입니다. 하지만 우리나라가 왼쪽에 위치한 이유는 일본의 영향을 받아 자동차를 제조하게 되면서 우측통행임에도 주유구를 왼쪽에 설계하게 되었다는 것이 일반적인 해석입니다.

차량 내부에서 주유구 위치 확인하는 법

하지만 저런 규칙에도 반드시 저렇지만은 않기 때문에 필히 위치를 미리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차량을 운전중일때 내려서 확인할 수 없는 노릇이고 차량 내부에서 계기판을 통해서 쉽게 주유구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바로 계기판 주유구 표시에 화살표 방향으로 차량의 주유구위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셀프주유 시 주의해야 할 유종확인

셀프 주유시 자신의 차량의 유종을 누군가가 알려주지 않기 때문에 유종을 잘 확인하고 주유해야 합니다. 대부분의 주유소에서는 휘발유는 노란색 주유기, 경유는 초록색 주유기를 사용하고 주유기에 글씨가 써져 있거나 차량의 주유캡에 쓰여있기도 합니다. 따라서 주유할 때 혼유가 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고 혼유가 되었을 경우 절대 차량을 운행해서는 안됩니다.

주유캡이 존재하는 이유

주유구에는 뚜껑이 있습니다. 이는 주유캡이라고 부르는데 주유캡은 유증기가 새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고 유증기는 연료와 윤활유, 유압기유 등이 미세한 틈을 통해서 고압으로 분사되어 생성되거나 기기나 배관등으로부터 유출되어서 액체상태로 있다가 고열의 장비에 접촉되면서 기화된 후 낮은 온도의 공기와 만나서 생성되게 됩니다.

 

주유캡이 만약 없다면 연료탱크 안의 연료가 기화되어서 날아갈 수 있기 대문에 이것을 막기 위해서 주유캡이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딸깍 소리가 날 때까지 돌려서 완전히 닫아진 것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동차 주유구 여는 방법

자동차 주유구를 여는 방식이나 여는 버튼의 위치는 차량마다 다릅니다. 크게는 4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운전석 시트 바닥에 레버로 있는 타입이거나 스티어링 휠 왼쪽 하단에 있거나 운전석 도어트림에 있거나 실내에 버튼이 없고 주유구 뚜껑을 눌러서 여는 타입이 있습니다.

 

자동차 주유구가 열리지 않을 때 해결 방법

자동차 주유구가 레버나 버튼을 눌러도 열리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주유구 커버를 열어주는 부품이 노후화되거나 겨울철에는 주유구가 얼어버리면서 열리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 수동으로 주유구를 여는 방법이 있습니다.

 

각 자동차마다 주유구가 열리지 않을 때를 대비해서 비상 주유구 레버가 존재합니다. 모든 차량의 트렁크 안쪽에 주유구가 위치한 방향에 수동으로 주유구를 열 수 있는 레버가 존재합니다. 차종에 따라서 캡 안에 레버가 있는 경우도 있고 레버를 당기면 주유구를 열 수 있습니다. 만약 수동 주유구 레버가 없는 경우에는 주유구 고정 핀을 카드를 넣어서 방문 잠겼을 때 열듯이 열어주는 방법이 있습니다.

 

오늘은 주유구에 대한 다양한 정보와 주유구가 열리지 않을 때 대처 방법, 혼유를 방지하기 위해서 주유기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셀프 주유가 많이 보급화 된 만큼 예전처럼 혼유 사고가 일어나지는 않지만 운전자들 모두 주의해서 안전 운전했으면 좋겠습니다.

728x90